본문 바로가기

이미지/정물 사진

(12)
삼다수 형태를 위한 자료~ 정말 입시에 자주 등장하는 삼다수 페트병... 오늘은 삼다수의 외곽형태 변화와 반짝이의 모양 뚜껑의 모습 등을 살펴보자. 소니 A7R3
콜라 페트병 소묘/수채화 참고사진 실제 눈으로 대상을 볼때보다 사진으로 남겨서 외곽형태를 살펴보면 평소 보지못했던 형태의 디테일을 확인 할 수 있다. 부분별로 콜라페트병의 형태 특징을 살펴보자 소니 A7R3 24-105G
정물소묘/수채화 자료 털실 털실은 덩어리를 유지하면서 묘사를 하는게 중요한 소재다. 가닥들을 낱개로 보지말고 덩어리로 묶어주면서 표현하는게 좋다. 소니 A7R3 24-105G
정물사진 귤 ~ 정물소묘나 수채화에서 참고할만한 정물사진.. 딱히 어려울거 없는 형태라 굳이 사진을 찍을 필요가 없었지만 찍어둔... 소니 A7R3 24-105G
코카콜라 캔 .. 정물소묘/수채화 사진자료 입시 미술에서 가장 기본적인 정물로 취급되는게 바로 캔이다. 미술을 처음 시작할 무렵 부터 대학을 가는 날까지 계속 그리고 그려야 하는 정물이다. 오늘은 빨간 코카콜라 캔의 이미지를 살펴보자. 직접 촬영한 이미지며 무단 불펌이나 사용은 절대 금한다. 지난번 펩시콜라 이미지를 포스팅하면서 설명을 한 부분인데 오늘 사진에서는 좀더 분명하게 관찰이 가능하다. 바로 캔의 앞쪽 흰천의 면적이 넓은지 좁은지에 따라 캔에 비치는 면적이 달라진다는것이다. 보통 캔을 그릴때 아래쪽으로 갈수록 풀어지게 그리는데 원근감 때문에 그렇게 하기도 하지만 실제 흰천 위에 놓여져 있을때는 천이 비치기 때문에 아랫쪽이 하얗게 비치는게 보인다. 그래서 캔의 색깔도 달라지게 되고 채도도 떨어진다 아래 이미지들을 살펴보면 캔 앞쪽 천의 면..
정물수채화 소묘 사과 이미지자료 입시 그림에서 사과라는 정물은 정말 중요한 소재다. 정물 수채화, 기초디자인, 정물 소묘, 이대 실기 등 나오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많이 출제가 되기에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정물이다. 먼저 시점에 따라 사과 꼭지 부분이 보이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그림 전체의 시점에 맞게 스케치를 해야 한다 . 그림을 그릴때는 눈높이를 고정해서 정물끼리 시점이 틀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과 같은 자연물을 그릴때는 색감의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한다. 상황에 따라 사과에 따라 모양도 조금 다르고 색감도 다르기 때문인데 구조적인 공통점은 인식을 하고 물체마다 조금씩 다른 부분을 잘 캐치해 내야 한다. 기본적으로 구의 형태를 가지고 위쪽 사과 꼭지에서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형태를 하고 있다. 이 두가지를 잘 생각해서 어떻게..
맛짬뽕 라면 정물수채화 스케치 소묘 사진자료~ 오늘은 라면봉지의 형태를 살펴보자. 요즘 한창 대세라면인 짬뽕 라면 중 하나인 맛짬뽕으로 골랐다. 실제 먹어보니 내입에는 진짬뽕이 더 맛났지만 오늘 정물 사진 자료는 맛짬뽕이다. 라면 봉지를 그릴때는 시점이 일단 잘 맞아야 하는데 일단 조금 위에서 본 장면을 먼저 살펴보자. 조금 위에서 먼저 살펴보면서 글씨나 라면봉지 안에 있는 그림들의 모양을 잘 파악해둬야 한다 다음은 많이 그리지 않는 모습의 형태다. 보통은 3면이 확실히 다 보이는 자리에서 그려주는게 좋기 때문에 이런 자리는 잘 그리지 않지만 한번쯤은 꼭 그려두는게 좋다. 다음은 일상적으로 많이 그리는 시점의 형태를 살펴보자. 모서리쪽의 구김을 잘 살펴야하고 큰 형태를 잡을때는 투시가 틀어지지않게 주의 해야 한다.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이렇게 위..
컵라면 정물수채화 소묘 정물 자료 오늘은 컵라면에 대해서 살펴보자 입시 미술을 하다보면 대입이던 예중예고 입시든 아주 자주 나오는 정물중에 하나인 컵라면이다. 컵라면의 종류도 아주 많지만 오늘은 신라면, 너구리, 안성탕면 이미지만 살펴보도록 하겠다. 먼저 윗면의 비닐질감이 잘 살아나도록 촬영한 컵라면 이미지다. 보통 실제 정물대 위에 있는 컵라면을 보면 비닐 질감이 잘 보이지 않아 많은 학생들이 표현하기 어려워 하는데 거기에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고자 이렇게 직접 촬영하여 포스팅 해본다. 윗면과 모서리쪽의 디테일 컷이다. 비닐의 반짝이는 느낌이 아주 잘 나타난건 아니지만 꺽어지는 모서리와 왼쪽 외곽의 비닐 느낌을 살펴보자. 이번에는 윗면의 비닐 구김 느낌이 좀 더 잘 나타나도록 촬영해보았다. 비닐이 당겨지는 느낌이 있기 때문에 반짝이도 당..